안녕하세요 천복입니다.^^
매년 사회보험요율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는 것 같습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자꾸 공제하는 금액들만 오르는 것 같은 건 기분 탓인가...ㅠ_ㅠ
고용보험료율은 작년 7월에 인상되어 현재는 변동이 없고,
국민연금도 현재는 유지, 산재보험료율도 저희는 변동이 없네요...
다행인 거겠죠?? ㅠㅠ
올해(2023년)의 사회보험요율을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9% = 근로자 4.5% + 사용자 4.5%)
국민연금은 아직까지는 보험료율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계속해서 보험료율을 인상시키겠다는 말들이 있어서..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알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보험료율 올릴 거면 국민연금 취득을 당연취득이 아니라 선택할 수 있게 해 주시면 좋을 텐데 말이죠...
건강보험(건강보험료율 7.09%, 장기요양보험료율 12.81%)
당연하다는 듯이 매년 오르는 보험료율은 건강보험입니다....
병원을 다니면서 진료비 등을 보면.. 공단이 주는 감사함을 느끼면서도...
막상 인상한다는 기사를 보거나 급여를 받을 때면... 슬퍼요.. 많이...(저만 그런가요?? ^^;;)
건강보험료율은 6.99%에서 7.09%로 상승...
장기요양보험료율은 12.27%에서 12.81%로 상승했습니다...
숫자만 보면 많이 안 오른 거 같으면서도.. 심리적으로 너무 많이 오른 느낌도 들고 그러네요.....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작년 7월에 인상된 부분이 있어서 현재는 유지됩니다..
아직 인상 얘기는 못 봤는데..
혹시 모르니 또 관심을 두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실업급여 부분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분담하는 부분이고, 작년 7월에 인상이 된 부분이죠..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 부분은 사업주만 부담하는 부분으로 근로자수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해당 부분은 각 기관별 확인이 필요합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료율은 기관별 확인이 필요합니다.
업종별로 공통 적용되는 보험료율이 있기는 하지만..
기관마다 가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요율을 확인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의 보험요율 확인은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에서 가능합니다.
연초인 지금 한 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요약 - 한눈에 보기 >
구 분 | 근로자 | 사업주 | 비고 |
국민연금 | 4.5% | 4.5% | |
건강보험 | 3.545% | 3.545% |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81% | 건강보험료의 12.81% | |
고용보험 | 0.9%(실업급여) | 0.9%(실업급여) 0.25~0.85%(고안직능) |
고안직능 - 규모별 상이 |
산재보험 | - | 사업주만 부담 | 시설별 상이 |
사회보험료율은 매년 예산에 반영해야 하고 급여지급 시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정리해 놓으시고.. 저보다 더 잘 정리하신 분들도 많지만..
저도 제가 혹시나 급하게 찾거나 할 때 활용하기 위해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업무에 참고가 되시면 좋겠습니다.!!^^
'사회복지시설 업무 > 2.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세자료제출 - 2. 계산서 합계표 제출 편 (0) | 2023.07.20 |
---|---|
과세자료 제출 - 1.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편 (0) | 2023.07.19 |
보조금(운영비) 신청 및 정산(2)(feat. 희망이음) (3) | 2022.11.13 |
보조금(운영비) 신청 및 정산(1)(feat. 희망이음) (0) | 2022.11.12 |
신규 사회복지시설 4대보험 사업장 성립신고 (2)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