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천복입니다.^^

 

지난 글에서 후원자 등록, 후원금 등록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 후원자 등록 >

https://liberte46.tistory.com/91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후원금 관리 - 1. 후원자등록

안녕하세요 천복입니다.^^ 이전에 후원금과 관련하여 후원금 관리 규정에 대해 정리했었습니다. 오늘부터는 이러한 후원금 관리 규정에 따라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후원금을 관

liberte46.tistory.com

 

< 후원금 등록 >

https://liberte46.tistory.com/92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후원금관리 - 2. 후원금등록

안녕하세요 천복입니다.^^ 이전 글에서 후원자 정보를 등록하는 법을 정리해봤습니다. https://liberte46.tistory.com/91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후원금 관리 - 1. 후원자등록 안녕하세요 천복입니다.^^

liberte46.tistory.com

 

이번에는 결연금과 후원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결연금지급등록

후원자의 결연후원금이 시설에 입금되면 해당 결연자에게 지급(지출)하여야 하며, 입금된 결연금은 결연금 지급 등록에서 관리합니다. (후원금 등록에서 진행해도 무방하긴 하겠지만, 결연금 지급등록에서 등록하지 않으면 결연금 지출 등록이 안 됩니다.)

후원금을 등록하는 방법에서 정기와 비정기입금등록이 있었듯이, 결연금을 등록하는 방법에도 정기지급 등록과 비정기지급 등록이 있습니다.

정기지급 등록후원자 정보 등록 시 후원약속사항에서 정기로 결연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나타납니다. 

해당 년월을 확인하고 조회하시면 해당 월의 결연후원금 후원자 명단이 나타날 것이며, 후원자를 선택하여 오른쪽 화면에 지급등록항목의 필수기재사항(주황색 체크표시)을 입력해줍니다. 계정은 시설 예산에서 결연금을 지급하는 결연사업과 관련된 계정과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모든 내용이 작성이 되었다면 저장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교육자료 - 후원관리

 

결연금 비정기지급 등록은 일회성 후원이거나 정기적이지 않은 경우, 또는 정기적으로 결연후원금을 지급하기는 하지만 후원약속사항에 등록하지 않았거나 인원수가 적어 그냥 직접 입력하는 경우 등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신규 버튼을 눌러주시고 내용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비정기지급등록의 경우 정기지급등록과 달리 전산으로 결연자 등에 대한 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후원자 번호, 결연자 번호를 돋보기를 눌러 검색해서 선택해주셔야 하며, 지급일 등의 필수기재사항을 입력해주시고 저장해줍니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교육자료 - 후원관리

만약 회계 반영 완료한 후에 수정사항이 있거나 잘못 작성된 것을 확인하여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우선 회계 반영으로 작성된 지출결의서를 삭제하신 후에 수정 혹은 삭제 작업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결연금 지출 등록

결연금 지출 등록은 결연자의 후원금 사용내역을 등록하는 공간입니다. (현재 잔액도 확인 가능하므로 잔액 관리 가능)

우선 결연금 지급 등록에 해당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 결연자에 대해서 등록이 가능합니다. 

 

결연금 지급 등록은 후원자가 결연자에게 후원한 금액을 등록하는 공간이라면, 

결연금 지출 등록은 각 결연자에게 후원된 금액을 실제로 어떻게 지출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공간입니다.

 

해당 결연후원금이 입금되는 즉시 결연자 통장으로 후원금액 전액을 지급할 수도 있고,

해당 결연자를 위한 물품 구입이나 의료비 등의 비용 지출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전액 지급으로 지출이 완료되면 잔액 관리가 크게 필요 없지만, 물품 구입이나 의료비 등 비용 지출로 사용한다면 해당 결연자의 결연후원금 잔액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입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교육자료 - 후원관리

 

후원품 등록 관리

현금으로 후원해주시는 분들이 있기도 하고 현금이 아닌 물품으로 후원해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쌀, 생필품, 식재료 등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물품을 후원해주십니다. 

후원품 또한 후원금처럼 수입을 등록하고 사용 후 내역을 등록하여 관리하여야 합니다. 

 

후원품이 들어오면 먼저 물품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고 수입명세서에 등록해줍니다.

후원품을 받은 당시 정확한 후원품 상태(수량, 상태, 품목 등)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진 등을 남겨 증빙자료를 남겨두시면 좋겠습니다.  

단가는 물품에 대한 금액이 없으면 0원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교육자료 - 후원관리

 

후원받은 물품을 실제로 사용한 후에 사용명세서를 등록해주셔야 합니다. 

후원품을 만약 대상자에게 지급하는 형태로 사용한다고 하면 지급 사진 또는 물품 인수증(수령 대상자 서명, 날인 등) 같은 증빙서류를 추가적으로 남겨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입명세서에 수입등록이 되어 있어야 사용명세서에 등록이 가능하므로, 사용 등록을 하려고 하는데 물품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수입명세서에 등록이 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수입내역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 활성화된 팝업창에서 사용 등록하고자 하는 후원품을 선택하시고 선택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후 나타난 내역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수정사항이 있다면(수량 등) 수정하신 후에 저장을 눌러주시면 사용 등록이 완료됩니다.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교육자료 - 후원관리

< 참고사항 >

후원품 수입명세서 작성 시 후원품 종류는 기초등록 - 기초코드등록 - 후원물품종류에서 내역을 등록해주셔야 나타납니다. 

후원품 사용명세서 작성 시 사용처는 기초등록 - 기초코드등록 - 사용처에서 내역을 등록해주셔야 나타납니다.  

 

 

지난 글부터 지금까지 후원금품이 발생한 경우 후원자 및 후원금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후원금을 수령한 경우 후원금 영수증을 발급해야 하므로 다음에는 후원금영수증을 발급하는 방법 등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오늘의 실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의 글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